한로(寒露)
한로(寒露)는 24절기의 17번째로 태양 황경이 195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24절기 중 추분과 상강 사이에 위치한다.
한로(寒露)는 양력으로 10월 8일 내지 9일경에 든다.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과 겹치기도 한다.
한로(寒露)의 의미는 말 그대로 ‘찬 이슬’이다. 음력으로는 9월의 절기로서 … 더 읽고 싶어요
알아두면 쓸데있는 신기한 잡다구리쓰~
한로(寒露)는 24절기의 17번째로 태양 황경이 195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24절기 중 추분과 상강 사이에 위치한다.
한로(寒露)는 양력으로 10월 8일 내지 9일경에 든다.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과 겹치기도 한다.
한로(寒露)의 의미는 말 그대로 ‘찬 이슬’이다. 음력으로는 9월의 절기로서 … 더 읽고 싶어요
백로(白露)는 24절기의 15번째로 태양 황경이 165도가 될 때이다. 24절기 중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다.
백로(白露)는 양력으로 9월 7일 내지 9월 8일경에 해당한다.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 더 읽고 싶어요
처서(處暑)는 24절기의 14번째로 태양 황경이 150도가 될 때이다. 24절기 중 입추와 백로 사이에 있다.
처서(處暑)는 양력으로 8월 23일 내지 8월 24일경이다, 음력으로는 7월에 해당한다. 여름이 지나 더위가 한풀 꺾이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고 하여 ‘처서’라 불렀다.
이 … 더 읽고 싶어요
입추(立秋)는 24절기의 13번째로 태양 황경(黃經)이 135도가 될 때이다. 천문학에서는 가을의 시점으로 삼는다.
입추(立秋)는 24절기 중 대서와 처서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대개 8월 7일 내지 8월 8일에 든다.
입추는 이름 그대로 가을에 들어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하지만 … 더 읽고 싶어요
대서(大暑)는 24절기의 12번째로 태양 황경이 120도가 될 때를 말한다.
대서(大暑)는 24절기 중 소서와 입추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대개 7월 22일 또는 7월 23일경 무렵이다.
대서는 이름 그대로 ‘몹시 심한 더위’라는 뜻으로 장마가 끝나고 땡볕 더위가 … 더 읽고 싶어요
예부터 하늘에서 일어나는 천문 현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그건 아마 우리 인간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천문 현상에는 눈, 비를 비롯해 별똥별, 오로라, 태양의 코로나와 플레어 현상 등이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 더 읽고 싶어요
소서(小暑)는 24절기 중 11번째 절기로, 태양 황경(黃經)이 105도가 되는 때이다.
소서(小暑)는 24절기 중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대개 7월 6일이나 7일 무렵이다.
소서는 이름 그대로 ‘작은 더위’라고 불린다. 중국에서는 이 시기에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고 … 더 읽고 싶어요
예부터 하늘에서 일어나는 천문 현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경외의 대상이 되었다. 그건 아마 우리 인간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천문 현상에는 눈, 비를 비롯해 별똥별, 오로라, 태양의 코로나와 플레어 현상 등이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 더 읽고 싶어요
하지(夏至)는 24절기 중 10번째 절기로, 태양 황경(黃經)이 90도가 되는 때이다.
하지(夏至)는 24절기 중 망종과 소서 사이에 들며, 오월(午月)의 중기로 음력으로는 5월, 양력으로는 대개 6월 21~22일 무렵이다.
천문학적으로는 1년 중 태양의 적위가 가장 커지는 시기이다. 이 무렵 태양은 … 더 읽고 싶어요
삼복(三伏)은 양력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 사이에 들어가는 잡절(雜節)로 초복, 중복, 말복을 가리킨다.
초복은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네 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로부터 첫 번째 경일이다.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초복에서 말복까지 20일이 걸리지만,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 더 읽고 싶어요
망종(芒種)은 24절기 중 9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黃經)이 75°에 달한 때이다.
망종(芒種)은 소만과 하지 사이에 들며, 양력 6월 6일 또는 7일 께가 된다. 일반적으로 양력 6월 6일 현충일과 자주 겹치곤 한다. 이는 귀주대첩이 있었던 고려 현종 때부터 망종에 … 더 읽고 싶어요
소만(小滿)은 24절기 중 8번째 절기로, 5월의 중기이며, 태양 황경이 60˚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5월 20~21일경에 해당된다.
소만(小滿)은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滿]는 의미가 있다.
만세력상 2023년은 계묘년이 … 더 읽고 싶어요
입하(立夏)는 24절기중 하나로, 양력 5월의 절기이다. 태양 황경이 45도가 되는 때이며, 여름이 시작되는 날이다. 일반적으로 양력으로는 5월 5~6일경에 든다.
입하(立夏)는 곡우와 소만 사이에 들며, 이때부터 여름이 시작된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 봄 기운이 많이 있다.
이때가 되면 봄은 … 더 읽고 싶어요
곡우(穀雨)는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다. 곡우는 청명과 입하 사이에 있으며, 음력 3월 중순경으로, 양력 4월 20일 무렵에 해당한다. 천체로는 태양 황경이 30도가 되는 때이다.
곡우(穀雨)의 의미는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이다.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부터 … 더 읽고 싶어요
청명(淸明)은 24절기의 5번째 절기로, 춘분과 곡우 사이에 위치해 있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이다.
하루 차이, 또는 같은 날 한식이 오기도 한다. 이에 관련된 속담으로는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라는 속담이 있다. 뜻은 ‘오십보 백보’와 비슷하다.
청명(淸明)이란 뜻은 하늘이 차츰 … 더 읽고 싶어요
어느덧 2022년을 마무리 하고 2023년이라는 새로운 해를 맞이해야 하는 때가 왔다.
2023년 계묘년(癸卯年)은 토끼띠의 해이다. 토끼는 예로부터 두뇌가 영리한 동물로 여겨져 왔다. 보기에는 귀엽고 순해 보이지만 성격이 매우 까다롭고 까칠하기도 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2023년 1월 1일 서울의 일출 시간을 … 더 읽고 싶어요
어느덧 2022년을 마무리 하고 2023년이라는 새로운 해를 맞이해야 하는 때가 왔다.
2023년 계묘년(癸卯年)은 토끼띠의 해이다. 토끼는 예로부터 두뇌가 영리한 동물로 여겨져 왔다. 보기에는 귀엽고 순해 보이지만 성격이 매우 까다롭고 까칠하기도 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2023년 1월 1일 독도의 일출 시간을 … 더 읽고 싶어요